본문 바로가기
영양 이야기

탄수화물은 몸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by 류린하 2023. 3. 27.
728x90

에너지 공급

우리 몸은 아주 조그마한 신체활동을 위해서라도 에너지가 끊임없이 필요하다. 뇌 또는 신체 내 다른 기관들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에너지가 요구되며 음식물의 소화, 흡수에도 에너지가 필요하다. 에너지는 체온유지나 생명 그 자체를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탄수화물의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이 에너지를 내는 기능인데, 탄수화물은 신체 내에서 1g 당 4kcal의 에너지를 내며 탄수화물 중 일부는 신체 내의 즉각적인 에너지 필요에 의해 포도당으로 쓰이고, 다른 일부는 간과 근육에 글리코겐으로 저장되며 남는 것은 지방으로 바뀌어 지방조직에 저장된다. 중추신경계는 에너지 급원으로 오직 포도당만을 사용하므로 중추신경계의 충분한 작용을 위해서는 탄수화물의 섭취가 꼭 필요하다.

 

단백질 절약작용 protein sparing action

탄수화물 말고도 단백질도 에너지를 낼 수 있는데 단백질은 고유의 기능이 따로 있다. 식사 중에 탄수화물이나 지방이 부족하게 되면 단백질은 이 기능을 못하고 에너지를 내는 데 쓰인다. 그러니까 탄수화물과 지방은 단백질이 에너지원이 되는 것보다 단백질 본래의 작용을 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창자 내 운동성

탄수화물 중에는 체내에서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소화기관의 내관을 통과해서 배설되며 이러한 것들은 모두 식이섬유에 해당하는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펙틴질, 검 같은 것들이 여기에 속한다. 식이섬유소는 불용성 섬유소와 수용성 섬유소 두 종류가 있는데, 불용성 섬유소는 물에 녹지 않으며 대장 내에서 박테리아에 의해서도 분해되지 않고 배설되므로 배변량과 배변속도를 증가시킨다. 수용성 섬유소는 물에 쉽게 녹거나 팽윤 되어 겔을 형성하여 소장 내에서 당이나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방해하고 대장 내의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되어 사슬이 짧은 지방산이나 가스를 생성한다.

 

식이섬유소의 역할 질환
소장에서의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
소장에서 담즙산과 결합해서 담즙산의 재흡수 억제
→ 콜레스테롤 배설 촉진 → 혈정 콜레스테롤 수준 감소
고지혈증 / 동맥경화증
부드러운 대변량 증가
장점막을 자극해 연동운동 촉진
대변의 통과시간 단축 및 배변 원활
변비 게실증
식이섬유소의 함유 수분에 의해 발암물질 희석
발암물질과 대장 벽 접촉 방해
발암물질의 대장 통과 속도 증가 및 배설 촉진
대장암
소장에서의 당질 소화 흡수 지연 및 억제
공복 혈당치 저하 / 포만감 유지
당뇨병
포만감 유지 및 소화 흡수 억제
체내 영양소 이용율 저하로 상대적인 에너지 섭취 감소 효과
소화물의 대장 통과시간 단축
비만

 

신체 구성성분

탄수화물은 단백질과 함께 신체 내에서 중요한 몇 가지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히알루론산과 같은 점성 다당류가 여기에 해당하는데, 이 물질은 신체 내 연결 부분의 윤활물질로서 작용한다. 또 다른 점성 다당류와 점성 단백질들은 신체 내에서 손톱, 뼈, 연골 및 피부 등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고 있다. 그 밖에 효모핵산을 특징짓는 알도오탄당 중 하나인 D-리보오스(D-ribose)는 DNA(deoxyribonucleic acid)와 RNA(ribonucleic acid)의 중요한 구성성분이 된다.

 

단맛 제공

단맛의 강도는 당류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설탕의 단맛을 1.0으로 했을 때 과당은 1.7, 전화당은 1.3, 포도당 0.7, 맥아당 0.4, 유당 0.2 정도이다. 이들 당류는 식품제조나 조리에 감미료로서 첨가될 수 있어서 단맛을 제공하고 식품의 물리적 성질의 향상을 위해서도 이용되어 식품의 수용도를 높여준다.

 

*인공감미료

인공감미료는 설탕을 대신해서 단맛을 내는 물질로 당 알코올류와 대체감미료가 있다. 당 알코올류는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이 있으며 설탕의 반 정도의 에너지를 내고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서 무가당 검이나 혈당 조절이 어려운 당뇨병 환자용 사탕에 이용하고 있다. 대체 감미료는 아스파탐, 사카린, 수크랄로오스, 네오탐 등이 있으며 당도는 설탕보다 훨씬 높지만 에너지는 설탕보다 훨씬 적어서 체중을 줄이려는 비만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 사카린은 에너지를 전혀 내지 않는다. - 많은 다이어트 음료에 감미료로 쓰이는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약 200배 정도 단맛을 지니며 아미노산 2개로 구성된 인공감미료로 칼로리가 적고 체내에서 아미노산과 같이 소화 · 흡수되어 혈당치 상승과는 무관하다.

 


2023.02.17 - [영양 이야기] - 탄수화물 제한 다이어트와 그 위험성에 관한 이야기

 

탄수화물 제한 다이어트와 그 위험성에 관한 이야기

우리의 몸은 음식물로부터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한다. 그때 주된 에너지원이 되는 게 탄수화물이다. 탄수화물 1g은 체내에서 산화되어 4kcal의 열량을 제공하는데 평균적인 소화흡

linhastory.com

 

728x90

댓글